그래도
어차피 가야하는 길
잠시 생각해보고 또 준비해 보는 시간을 갖는것도 바람직할것 같네요.
한동안 고민하다가 ...
노후에 대한 쓸만한 자료를 찾아서 올려봅니다.... 서비.
--- 노후준비 7원칙 ..... 김창기 행복포럼 대표 ---
벌기도 힘들고, 벌었다 하더라도 이를 지키기도 힘든 재테크 환경에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은퇴 이후 삶을 바라보는 자세와
평균수명이 100세에 이르는 시대를 사는 현대인들에게는
평생 현역으로 살 수 있는 방법이 중요하다.
노후자금으로 몇 억원이 있어야 한다고
공포심을 조장하는 것은
금융회사 등의 상술이라고 일축하며
실제 노후자금으로 몇 억씩 들지는 않으며,
노후는 산책이나 하면서 시간을 죽이는 시기는 아니다
그가 제시하는 "노후 준비 7원칙"
=================================================
제 1원칙은 평생현역
불가능한 10억 만들기에 절망할 것이 아니라
평생 일을 하라는 것으로 '신세대 노인'으로서
평생 현역으로 일하겠다는 마음의 자세가 필요.
젊어서 돈을 벌기 위해 일했다면
은퇴 후에는 자신이 좋아하는 일. 행복 해지는 일을 하면서
평생 현역으로 살라는 것.
정년 퇴직에 임박해서 노후를 준비할 것이 아니라
미리 자신이 퇴직 후에 무슨 일을 할 것인지를 생각해서
그에 관한 전문 지식과 식견을 준비해야 한다.
제 2원칙은 평생경제
노후에도 작은 일이라도 해서 경제적 활동으로 돈을 벌어야 한다는 조언.
젊었을 때 벌어놓은 돈을 쓰면서 산다는 것은 환상.
젊을 때 노후에 필요한 돈을 다 버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또 저금리 현상이나 인플레이션 등 각종 예기치 못한 상황에 따라 이자수입으로 살기도 힘들다.
제 3원칙은 평생건강
평소 규칙적인 운동을 통해 건강을 지킨다.
늙어서 중병을 앓으면 서럽고
애써 모은 노후자금을 병원비로 지불하기는 안타까운 일이기 때문이다.
제 4원칙은 평생젊음
매사에 젊은이들처럼 도전정신을 유지한다.
제 5원칙 평생관계
정기적으로 만날 수 있는 친한 사람이 최소 여섯 명이고,
일상사의 불편에서 벗어날 수 있다면 노후가 행복하다.
노후에도 정기적으로 만날 수 있는 인맥을 만들어 두라는 조언.
제 6원칙 평생공부
현 시대 지식의 양은 급격히 증가해
학교에서 배운 지식만으로는 평생을 살 수 없다는 것.
자신이 맡은 업무는 물론이고
다양한 분야에 관심을 두고 끊임없이 학습하라는 주문.
세상이 변화하는 것에 맞춰 끊임없이 공부하는 자세를 지녀라.
제 7원칙 평생마음개발
일상에서 불가피하게 부닥치는 스트레스를 다스리는 마음 공부가 필요하다.
헛된 욕망에 괴로워하지 말고,
늘 겸손함을 유지하며
이웃에게 베푸는 자세를 지니면 삶에 보람을 느껴 스스로 행복해 진다.